read: fail

Lynx: 더 많은 가능성을 여는 네이티브 UI

Lynx는 웹 개발자들이 단일 코드베이스로 모바일과 웹의 네이티브 UI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기술 모음입니다. TikTok 같은 대규모 앱에 적합하며, 빠른 렌더링 엔진과 Rust 기반 도구를 제공합니다. Lynx는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개발자들이 더 자유롭고 생산적으로 앱을 만들 수 있도록 돕습니다. Lynx로 무엇을 만들어볼까요?

부동 소수점과 상자

부동 소수점 숫자는 컴퓨터에서 정수와 함께 사용되며, IEEE 754 표준에 따라 정의됩니다. 이 글에서는 부동 소수점의 구조와 정밀도 손실 문제를 다룹니다. 특히, NaN(Not a Number)과 같은 특수한 경우와 과학적 표기법을 통해 부동 소수점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합니다.

"alias" 명령어가 마지막 선택인 이유

별칭은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간편하게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하지만 저는 스크립트를 선호합니다. 스크립트는 즉각적인 업데이트, 다양한 언어 사용, 복잡한 로직 처리, 그리고 이식성을 제공합니다. 반면, 별칭은 간단하고 빠르지만, 스크립트의 유연성을 따라잡기 어렵습니다.

앤드류 바르토와 리처드 서튼, 2024 튜링상 수상: 강화 학습의 기초를 다지다

2024년 ACM A.M. 튜링상이 강화 학습의 기초를 확립한 앤드류 바르토와 리처드 서튼에게 수여되었습니다. 이들은 강화 학습의 개념적, 알고리즘적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는 AI 발전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특히, AlphaGoChatGPT 같은 혁신적인 AI 기술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이들의 연구는 AI와 인간 인지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피치포크 이야기

피치포크는 Shopify의 루비 HTTP 서버로, 기존의 유니콘 서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유니콘은 메모리 사용량이 많고 연결 풀링에 비효율적이지만, 피치포크는 메모리 절약성능 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특히, 복사-온-쓰기(CoW) 기술을 활용해 메모리 공유를 극대화하고, 리포크 기능으로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피치포크는 대규모 Rails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며, 향후 루비의 병렬 처리가 가능해지면 그 필요성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Trigon: iOS용 결정론적 커널 익스플로잇 개발

CVE-2023-32434는 iOS의 XNU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정수 오버플로우 취약점입니다. 이 취약점을 통해 임의의 물리 메모리를 사용자 공간에 매핑할 수 있습니다. 특히 A10(X) 장치에서는 KTRR 보호 영역을 스캔하여 커널 베이스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 글은 iOS 13 이상에서의 커널 익스플로잇 개발 과정을 다루며, 다양한 장치와 버전에서의 도전 과제를 설명합니다.

나쁜 사과, 그러나 SSH 키로

이 문서는 SSH 키와 'Bad Apple'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창의적인 프로젝트를 다룹니다. 각 비디오 프레임마다 SSH 키를 생성하여 큰 출력 파일을 만듭니다. 랜덤 키 생성프레임 비교를 통해 최적의 결과를 찾으며, 멀티 스레드로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이 프로젝트는 기술과 예술의 독특한 융합을 보여줍니다.

파이썬 패키지의 지도

PyPi는 50만 개 이상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를 호스팅하는 파이썬의 패키지 저장소입니다. 이 문서는 패키지 구조를 탐색하고, 그래프 시각화를 통해 관계를 파악하며, 새로운 패키지를 발견하는 과정을 다룹니다. Gephi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클러스터를 시각화하고, 의미론적 이웃을 분석합니다. 흥미로운 점은 numpy와 같은 유명 패키지 주변에 scikit-learntensorflow가 모여 있다는 것입니다. 이 시각화는 데이터셋 탐색의 출발점이 됩니다.

"코드로서"의 의미 명확히 하기

코드로서라는 용어는 단순히 프로그래밍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필자는 이를 원칙이나 규칙의 체계로 정의합니다. 이는 Terraform과 같은 도구를 개발하면서 생긴 오해를 풀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하고 자동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레이헌터를 만나보세요: EFF의 새로운 오픈 소스 도구로 셀룰러 스파이 감지

EFF는 일상 생활에서 개인을 감시하는 거리 수준 감시 기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레이헌터는 이러한 감시 기술 중 하나인 셀사이트 시뮬레이터(CSS)를 감지하는 오픈 소스 도구입니다. 저렴한 모바일 핫스팟에서 작동하며,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레이헌터는 의심스러운 활동을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내며, 로그를 다운로드하여 전문가 분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도구는 표현의 자유 감시에 대한 CSS 사용 범위를 파악하고, 법적 및 입법적 노력을 지원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왜 fastDOOM은 빠른가

fastDOOM은 1993년의 최고 성능을 자랑하던 컴퓨터에서 30% 이상의 성능 향상을 보여줍니다. 이 놀라운 성능은 Victor "Viti95" Nieto의 3,042개의 커밋 덕분입니다. 그는 코드 최적화와 불필요한 코드 삭제를 통해 성능을 극대화했습니다. DOOM 팬이라면 이 흥미로운 최적화 이야기를 놓치지 마세요!

Tailscale의 유용성

TailscaleCGNAT 문제를 해결하며, Raspberry Pi와 같은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가상 사설망을 제공합니다. SSH를 통해 원격 접속이 가능하며, Taildrop으로 파일 전송이 간편합니다. Mullvad와의 협력으로 프라이버시도 강화됩니다. Headscale이라는 오픈소스 대안도 있습니다.

드론/깃랩 서버의 CI/CD 파이프라인에서의 채굴자 문제

CI/CD 파이프라인에서의 채굴자 문제는 드론과 깃랩 서버의 보안에 큰 위협이 됩니다. 특히, 오픈 등록이 가능한 서버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알아보세요!

한글 인코딩: 한국의 문자 체계

한글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어의 현대 문자 체계로, 유니코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사용됩니다. 한글은 자모로 구성된 음절 문자 체계로, 68개의 자모만 배우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글의 유니코드 인코딩 방식과 수학적 조작을 통해 자모를 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한글의 역사적 변화와 효율성을 함께 알아보세요!

Lean 4, v4.17.0 릴리스

Lean 4의 최신 릴리스에서는 319개의 변경 사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168개의 기능 추가57개의 버그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커널과 정교화 환경의 분리비종료 함수 정의가 주목할 만합니다. 병렬 실행Lean CLI 개선도 포함되어 있어, 사용자 경험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

성능 최적화, 그리고 잘못된 방법

최근 SIMD 명령어를 사용해 컨볼루션을 최적화하려다 예상치 못한 문제들로 며칠을 보냈습니다. 특히 컴파일러가 함수 인라인을 잘못 처리해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최적화 후 멀티스레딩으로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성능 최적화는 복잡한 작업이지만, 기본적인 어셈블리를 배우면 도움이 됩니다.

llvm-mca를 활용한 CPU 성능 디버깅: CPU 시뮬레이션

llvm-mca는 CPU가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식을 시뮬레이션하여 성능을 분석하는 도구입니다. 이 글에서는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벡터화최적화를 시도했지만, 예상과 달리 성능이 저하된 사례를 다룹니다. llvm-mca를 통해 자원 소비병목 현상을 분석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했습니다.

프로그래머들이 언어에 대해 믿는 잘못된 상식

소프트웨어 현지화 산업은 언어와 번역에 대한 여러 오해단순화된 시각을 마주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모든 언어가 영어와 같은 문장 구조를 가질 것이라는 믿음, 단어 길이가 비슷할 것이라는 기대, 그리고 대소문자 구분이 보편적일 것이라는 가정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오해들은 소프트웨어 현지화의 복잡성을 간과하게 만듭니다.

타이거비틀 아키텍처

타이거비틀은 금융 거래를 위한 고성능 분산 시스템으로, 높은 처리량낮은 지연 시간을 목표로 설계되었습니다. 일관성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단일 스레드정적 메모리 할당을 통해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Zig 언어로 구현되어 있으며, 시뮬레이션 테스트를 통해 정확성을 검증합니다. io_uring을 활용한 비동기 디스크 I/O와 해시 체인을 통한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특징입니다.

PyTorch와 MNIST로 손글씨 숫자 인식기 만들기

PyTorchMNIST를 활용해 손글씨 숫자 인식기를 만드는 과정을 소개합니다. REST API를 통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며, Vercel의 미성숙한 Python 지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odal.com을 선택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ONNX 변환 시도도 흥미로운 포인트입니다!